본문 바로가기
경제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조건,신청기간 은행별 금리 만기시 금액 총정리

by ST 존 2023. 11. 19.
반응형

청년도약계좌는 정부에서 청년들에게 중장기 자산형성을 도와주는 목돈을 마련할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주는 상품입니다.

따라서 청년도약계좌 신청조건,방법 은행별 금리 청년희망적금 만기시 받을수 있는 금액에 대해 총정리 해보겠습니다.

1.청년도약계좌 조건?

청년도약계좌란 청년이 5년동안 40만원에서 70만원을 적금하면 최대이자 6%를 지원하고,자유식으로 납입을 할 경우 정부에서 지원금과 비과세 혜택을 받을수 있는 상품입니다.

 

예를 들어 월 최대 납입금액인 70만원을 5년동안 납입할 경우 만기 시 원금 4200만원에 이자 800만원을 더해서 약 5천만원을 금액을 수령할수 있습니다.

 

청년들을 위한 중장기 자산형성을 도와주는 좋은 상품인 것 같으니 신청조건과 기간에 대해 빨리 알아보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화분
청년도약계좌 화분

2.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은행별 금리

청년도약계좌의 11월에 가입 신청기간은 6일에서 17일 사이입니다.그리고 계좌개설은 다음달 12월 4일에서 12월15일까지입니다.

 

국민은행,신한은행,우리은행,하나은행,NH농협,IBK기업,부산은행,광주은행,전북은행,경남은행,대구은행 등 홈페이지 사이트에서 신청이 가능하고,또한 앱(APP)을 통해 비대면으로 신청이 가능합니다.

청년도약계좌 금리-CEO 포커스 출저
청년도약계좌 금리-CEO 포커스 출저

청년도약계좌는 소득과 납부 금액에 따라서 정부의 지원금 차이가 있으니 시중은행별 금리를 잘 확인하셔서 본인에게 맞는 것으로 가입 신청을 하시면 됩니다.

→은행별 금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청년도약계좌의 시중은행 11개 기본금리는 IBK,신한,KB,우리,NH,하나 은행들 금리 : 4.5%
  • DGB,경남은행,부산은행의 금리 : 4%
  • JB,KJB 금리 : 3.8%

은행별마다 금리적용이 차이가 있고,우대금리가 적용이 되면 최고 6%까지 적용이 가능해서 모두 동일하다고 볼수 있습니다.

은행별 우대금리
은행별 우대금리

 

우대금리의 조건도 은행별마다 다르기 때문에 가입 전에 본인에게 맞는 은행을 꼼꼼히 살펴본 뒤 가입신청을 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은행연합회 홈페이지에서도 청년도약계좌금리 비교를 할수 있으니 확인하셔서 가입 신청해보시기 바랍니다.

 

※ 개인소득별 기여금 지급구조

청년도약계좌는 5년 만기시 비과세로 수령을 할수 있고,소득에 따라서 정부의 기여금이 달라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개인소득이 3.600만원에서 4,800만원 이하라면 월 60만원 한도내에서 3.7%인 22,000원을 받을수 있습니다.

그러나 6,000만원에서 7,500만원 이하의 가입자면 기여금 대상자에서 제외가 됩니다.

개인소득별 기여금-금융위원회 출저
개인소득별 기여금-금융위원회 출저

그래서 자신의 소득이 2,400만원 이하라면 지급한도가 40만원 6%인 24,000원을 받을수 있습니다.

자,그럼 청년들이라면 한번 가입조건이 어떻게 되는지 확인하셔서 본인에게 맞는 조건으로 가입해보시기 바랍니다.

3.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청년도약계좌의 가입조건은 만 19세 ~ 34세이하 청년들 중에 개인소득이 7,500만원 이하,가구 소득 중위 180%이하,최근 3년동안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에 1회 이상 해당이 되지 않는 경우 가입이 가능합니다.

나이의 경우 남자라면 병역사항이 있어서 최대 6년까지 제외를 해주고 있습니다.참고하시기 바랍니다.그래서 현재 나이에 군 복무기간을 빼고 만 34세 이하라면 가입이 가능합니다.

개인소득의 경우 종합소득금액 6,300만원 이하 총 급여액이 7,500만원 이하일때 가능합니다.

 

국민행복금융센터

연 4.9% 최저금리. 근로자 금리비교 모바일 지원.*4대 보험 가입 근로자 대상.

ninepluslone.com

또한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이 충족하기 위해서는 가구 소득 기준이 중위소득 180% 이하여야 가능합니다.

가구소득 기준-서민금융원 출저
가구소득 기준-서민금융원 출저

예를 들어 1인가구 소득 (3,740,206),2인가구 소득 (6,221,079),3인가구 소득 (7,982,669),4인가구 소득 (9,721,735),5인가구 소득 (11,395,238),6인가구 소득 (13,010,366) 가구 중위소득 기준입니다.

또한 가구 인원수에 따른 중위소득을 확인을 한 후 본인의 가입 대상 여부를 확인할수 있습니다.

돼지저금통 BIG
돼지저금통 BIG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은 매월 1일에서 15일까지입니다.이자,우대금리와 혜택들 꼼꼼히 확인을 하신 후 은행을 선택해서 가입을 하시면 됩니다.

4.청년희망적금 만기 금액

청년도약계좌가 나오기 전에 가장 인기가 있는 상품인 청년희망적금 만기시 금액은 얼마 수령이 가능한지 알아보겠습니다.

①청년희망적금 가입조건

청년희망적금 가입조건은 만 19세 ~ 34세이하 (병역이행기간 최대 6년)

직전연도 총 급여액 3,600만원 (종합소득 금액 2,600만원) 이하에 속하고 국세청을 통해서 소득 금액 증명이 가능한 경우 가입을 할수 있습니다.

 

가입대상은 대학생,공무원이 가능하고 외국인인 경우 일정기간 국내에 거주하면서 세금을 잘 납부를 할 경우 해당됩니다.

②만기시 수령금액

청년희망적금은 저축한도가 최소 1천원 ~ 최대 50만원 (연간 60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식으로 저축이 가능하고 2년 만기 시 최대 36만원의 저축 장려금을 지원 받습니다.

 

또한 이자소득에 대해서는 소득세가 과세되지 않는 좋은 점이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비교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비교

예를 들어 매월 50만원 씩 2년동안 납입을 해서 총 납입액이 1,200만원인 경우 이때 일반 적금 상품이 5% 인 경우 이자 소득세는 없으며,저축 장려금 36만원으로 만기 시 되었을 경우 약 1천298만원 금액이 나오게 됩니다.

여기에 은행이 제공하는 우대금리 총 6%의 금리를 적용한다면 약 1천 311만원의 청년희망적금 만기금액을 수령할수 있습니다.

청년들의 중장기 자산형성을 마련하기 위해 한번 준비해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두개의 상품은 모두 정부에서 지원을 하는 사업이고,중복가입은 불가능하지만 갈아타기는 가능합니다.

자산 형성자산 형성
자산 형성

또한 청년도약계좌가 출시가 되면서 청년희망적금은 현재 가입은 불가능합니다.그러나 2024년 2월 이후부터는 청년희망적금 만기 수령 가입자들을 대상으로 별도로 신청을 한다고 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함께보면 좋은 글

 

6월 출시되는 청년도약계좌로 5000만원 모으기(금리는 8일날 결정)

6월에 출시되는 청년도약계좌란 만 19세~34세의 청년들을 위한 금융 정책 상품입니다.매달 일정금액을 5년간 납입을 하면 정부지원금과 은행이자를 더한 금액을 만기시 5000만원 모을수 있다고 합

mcworld1000.tistory.com

 

주택청약 1순위 조건 청년우대형 청약통장 만들기

주택 마련의 꿈을 위해 통장에 저축을 하는 분들이 많이 있을 것입니다.그래서 청년들을 우대하는 청약통장 개설하고 좋은 혜택들에 대해 알아보려고 하니 확인하셔서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mcworld1000.tistory.com

 

2023 청년 일자리도약 장려금 개선된점과 청년 취업 지원금 총정리

2023년 청년 일자리 도약 장려금 개선된점과 청년 취업 지원금에 대해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작년과 다르게 2023년도 청년들의 취업애로난을 위한 정부의 좋은 혜택들이 어떻게 개선 되었는지 한

mcworld1000.tistory.com

 

2023년 '청년 버팀목 전세자금대출 조건'에 대해 쉽고 빠르게 알아보기

청년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은 청년층의 주거 안정에 큰 도움이 되는 제도입니다.청년들의 주거난을 해결하기 위해 낮은 이자로 전세대출을 하는 것입니다.정부 지원 상품으로 낮은 금리로 전세

mcworld1000.tistory.com

 

청년신혼부부 전세자금대출 종류와 한도 조건 비교 추천

중소기업 정책자금 컨설팅 중소기업 정책자금 : 중소기업의 경제 활동을 지원하고, 안정적인 성장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정부가 운영하는 금융 지원 정책. 이 정책은 중소기업의 자금난을 해결

mcworld1000.tistory.com

 

반응형